'헬조선' 된 한국사회, 원인을 찾다
[따끈따끈 새책]'배제, 무시, 물화'…한국사회를 바라보는 세 가지 시선머니투데이 김유진 기자 입력 2015.08.22. 03:16
[머니투데이 김유진 기자] [[따끈따끈 새책]'배제, 무시, 물화'…한국사회를 바라보는 세 가지 시선]
부자는 더 부유해지고 빈자는 더 가난해진다. 사람들이 서로 무시하고 분노와 충동이 조절되지 않는다. 부모가 자식을 죽이고 자식이 부모를 죽인다. 유행하는 '헬조선'이라는 단어는 혼란의 도가니가 된 한국 사회의 현주소다.
사회철학자 김원식은 지금의 한국사회를 만든 핵심 키워드로 '배제, 무시, 물화'를 꼽는다.
'성장이냐 분배냐'로 모든 사회갈등의 원인을 환원해 온 관행 대신 경제적 배제, 문화적 무시, 삶의 물화 이 세 가지 틀을 통해 한국사회의 갈등을 바라본다. 사회 갈등의 원인으로 여겨져 온 분배 문제를 넘어 인정 문제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점이 색다르다.
배제는 만성화된 대량 실업과 새로운 극빈층의 출현 속에서 들여다볼 수 있다. 전 지구적인 자본이 이동하고 경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상이기도 하다. 우리 정부와 재계의 노동 유연화도 한 몫 한다.
산업화 시기에는 착취가 문제였지만 지금은 더는 필요하지 않아 배제된 사람들이 문제라는 것이다. 취업 기회를 원초적으로 박탈당한 청년 실업자, 만성적 실업자가 그 예다.
무시는 배제 속에서 탄생해 오히려 배제보다 더 큰 문제로 자리 잡았다. 외모와 경제력, 학벌 등에 의해 발생하는 무시와 인정 문제로 양극화가 발생한다.
이렇게 경제적 배제와 문화적인 무시가 발생하면서 사람들의 삶은 점점 '물화' 된다. 인간관계를 포함한 모든 것이 단지 생존을 위한 도구가 되고, 자신까지 도구가 돼버리는 세상.
대안은 어디서 찾아야 할까. 저자는 민주주의와 정치를 말한다. 구조적 갈등과 병리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선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 제도와 역량이 더욱 성숙해야 한다는 게 저자의 생각이다.
◇배제, 무시, 물화=김원식 지음. 사월의책 펴냄. 304쪽. 1만7000원.
부자는 더 부유해지고 빈자는 더 가난해진다. 사람들이 서로 무시하고 분노와 충동이 조절되지 않는다. 부모가 자식을 죽이고 자식이 부모를 죽인다. 유행하는 '헬조선'이라는 단어는 혼란의 도가니가 된 한국 사회의 현주소다.
사회철학자 김원식은 지금의 한국사회를 만든 핵심 키워드로 '배제, 무시, 물화'를 꼽는다.
'성장이냐 분배냐'로 모든 사회갈등의 원인을 환원해 온 관행 대신 경제적 배제, 문화적 무시, 삶의 물화 이 세 가지 틀을 통해 한국사회의 갈등을 바라본다. 사회 갈등의 원인으로 여겨져 온 분배 문제를 넘어 인정 문제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점이 색다르다.
산업화 시기에는 착취가 문제였지만 지금은 더는 필요하지 않아 배제된 사람들이 문제라는 것이다. 취업 기회를 원초적으로 박탈당한 청년 실업자, 만성적 실업자가 그 예다.
무시는 배제 속에서 탄생해 오히려 배제보다 더 큰 문제로 자리 잡았다. 외모와 경제력, 학벌 등에 의해 발생하는 무시와 인정 문제로 양극화가 발생한다.
이렇게 경제적 배제와 문화적인 무시가 발생하면서 사람들의 삶은 점점 '물화' 된다. 인간관계를 포함한 모든 것이 단지 생존을 위한 도구가 되고, 자신까지 도구가 돼버리는 세상.
대안은 어디서 찾아야 할까. 저자는 민주주의와 정치를 말한다. 구조적 갈등과 병리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선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 제도와 역량이 더욱 성숙해야 한다는 게 저자의 생각이다.
◇배제, 무시, 물화=김원식 지음. 사월의책 펴냄. 304쪽. 1만7000원.
'관심있는 단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 배아 유전자 교정 허용 (0) | 2016.02.11 |
---|---|
원샷법(기업활력제고 특별법) 통과 (0) | 2016.02.04 |
셰일가스(shale gas) (0) | 2014.12.16 |
전기차 (0) | 2014.12.15 |
임대소득 (0) | 2014.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