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플라스틱의 습격..2050년 서해 4분의 1이 '죽음의 바다'
조해람·김기범 기자 입력 2021. 02. 10. 06:00 수정 2021. 02. 10. 10:33 댓글 748개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경향신문]
생선 안에서 발견된 미세플라스틱 조각들. 그린피스 제공
2050년쯤이면 서해의 4분의 1 이상이 해양생물들이 살기 어려운 ‘죽음의 바다’가 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왔다. 바닷물의 미세플라스틱 오염 탓이다.
벨기에와 스웨덴, 네덜란드 등의 환경학자들이 참여한 공동연구팀은 지난해 12월 국제학술지 ‘환경오염(Environmental Pollution)’에 발표한 논문에서 전 세계 바다의 미세플라스틱 위험도를 평가한 결과, 지중해와 서해가 미세플라스틱 오염으로 심각한 위험에 처할 징후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미세플라스틱은 지름 5㎜ 미만의 플라스틱 입자로, 플라스틱 쓰레기가 잘게 부서지거나 합성섬유 의류 세탁·타이어 마모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한다.
■서해, 30년 뒤면 ‘미세플라스틱해’ 된다고?
연구진은 8개 해양생물종의 생태 독성 자료를 기준으로 ‘허용 불가 수준(unacceptable)’의 미세플라스틱 농도를 추정하고, 이를 최선·중간·최악의 시나리오로 나눠 세계 각 해역 수면(0~5m)의 미세플라스틱 농도를 측정해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서해는 지중해와 함께 미세플라스틱 오염에 가장 취약한 해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악의 시나리오에서 2050년쯤 서해는 27.1%가, 지중해는 53.9%가 미세플라스틱 오염으로 인해 해양생물이 생존하기 힘든 지역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2100년에는 서해의 절반에 가까운 44.6%와 지중해의 3분의 2가 넘는 68.7%가 심각한 위험도를 보일 것으로 연구진은 예측했다. 지구 전체로는 2050년에 전체 바다의 0.52%, 2100년 1.62%가 죽음의 바다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미세플라스틱 오염으로 인한 위험도(최악의 경우)를 국제공동연구진이 지도에 표시한 그림. 왼쪽 위부터 1970년(A), 2010년(B), 2050년(C), 2100년(D)이다. 시간이 갈수록 지중해 지역과 황해, 북태평양 등의 위험도 그래프가 높아지고 있다. 국제학술지 ‘환경오염’ 제공.
연구진은 지중해와 서해의 생물들이 이미 심각한 위험에 처해 있다고 경고했다. 2010년 기준으로 지중해는 15.9%, 서해는 5.38%에 달하는 면적이 이미 해양생물의 생존이 어려운 ‘허용 불가 수준’의 미세플라스틱 농도를 보였다. 연구진은 “1970년대까지만 해도 미세플라스틱 오염은 해양 생태계에 즉각적인 위험을 주지 않았지만, 플라스틱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미세플라스틱 농도가 허용 불가능한 수준에 근접했다”며 “점점 더 많은 생태계가 허용할 수 없는 수준의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환경 책임자들이 바닷속 미세플라스틱에 대해 고려하기를 강력히 권고한다”고 했다.
■턱밑까지 차오른 미세플라스틱, 어디서 왔을까
서해를 포함한 한반도 주변 바다의 미세플라스틱 농도는 이미 세계에서 손꼽히는 수준이다. 영국 맨체스터대 연구진이 2018년 네이처 지오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인천·경기 해안은 세계에서 미세플라스틱 농도가 2번째, 낙동강 하류는 3번째로 높다. 삼면이 바다인 한반도 전체가 미세플라스틱에 포위된 셈이다.
하지만 아직 한국 바다의 미세플라스틱 발생지를 추적하는 연구는 걸음마 상태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지난해 10월 한국·중국의 주요 강 10곳에서 나오는 플라스틱 쓰레기의 움직임을 분석하고, 해류를 기준으로 본 플라스틱 쓰레기의 예측 경로와 실제 관측된 플라스틱 쓰레기의 원산지가 다르게 나타났다는 논문을 국제학술지 ‘유해물질저널’에 발표했다. 해류 움직임을 통해 예측한 모델에서는 중국발 쓰레기가 높게 나왔지만, 실제 한국 해안가에서 나타난 비중은 30% 이하였다. 해류 흐름상 중국발 플라스틱 쓰레기가 도달하기 어려운 한강과 낙동강 부근에서 플라스틱이 많이 발생했다는 점도 모델링 결과와 달랐다.
멸종위기 해양포유류 남방큰돌고래의 서식지인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해안을 뒤덮고 있는 페트병, 폐어구 등 플라스틱 쓰레기들. 핫핑크돌핀스 제공.
연구진은 모델링 예측과 관측이 일치하지 않는 이유를 두 가지로 추정했다. 첫째는 플라스틱 침몰이다. 해양 생물이 달라붙어 무거워진 플라스틱이 물 속으로 가라앉는 ‘바이오폴링’ 현상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바이오폴링은 부력(물에 뜨는 힘)을 잃기 쉬운 미세플라스틱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두 번째 이유는 MPW(Mismanaged Plastic Waste. 재활용 등 처리 과정을 통해 관리되지 않고 자연에 그대로 버려지는 플라스틱) 수치 오류다. 중국산 플라스틱 폐기물의 MPW 비율은 연구마다 달라진다. 연구진은 2018년 최신 연구에 맞춰 중국과 북한의 MPW 비율을 25%로 낮추면 모델링의 예측과 한국 해변 관측 결과가 비슷해진다고 했다.
낙동강에서 발생한 쓰레기의 이동 경로와 모델링 예측. (a)는 실제 부표를 이용한 이동가능성. (b)는 연구진이 모델링으로 예측한 쓰레기 이동 경로. (c)는 부표의 부유 시간. (d)는 모델링으로 예측한 쓰레기 부유 시간. 국제학술지 ‘유해물질저널’ 제공
연구를 진행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서성봉 연구원은 경향신문과 통화에서 “중국에서 쓰레기가 적게 나온다는 의미는 아니다. 다만 중국발 쓰레기의 대부분은 중국 쪽 해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며 “전 세계적으로 중국산 플라스틱을 집계할 때 쓰는 수치가 부정확하거나, (쓰레기가)해류를 타고 오다가 가라앉는 경우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 연구의 주요 내용”이라고 말했다.
국내 해안 미세플라스틱의 위험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더 정밀한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구진은 “한국 해안에서 발견된 플라스틱 쓰레기의 발생원인과 하천에서 온 쓰레기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MPW 비율이나 하천에서 배출된 파편의 총량에 대한 보다 정확한 추정이 필요하다”며 “특히 2개국 이상에서 발생한 파편을 고려할 경우 더 그렇다”고 설명했다.
조해람·김기범 기자 lennon@kyunghyang.com
연재 플라스틱 중독사회
-
[단독]미세플라스틱의 습격..2050년 서해 4분의 1이 '죽음의 바다'
-
Castle3시간전
이제 특단의.대책을 써야 하는거 아닐까 플라스틱용기 사용 제한
답글7댓글 찬성하기319댓글 비추천하기3
-
쌉질3시간전
2050년?! 꿈도 얌 지다. 길어야 10년후면 지연재앙으로 인류는 멸망 할 듯
답글6댓글 찬성하기127댓글 비추천하기18
-
243시간전
만들어내지 않으면 훨씬 좋아질텐데 기업들이 만들어 쓰지 않으니깐 소비자가 어떻게 해야함? 모든게 플라스틱 비닐 투성인데 어쩌라는거지?
답글9댓글 찬성하기240댓글 비추천하기9
-
가을사랑3시간전
서해는 중국이 가장 큰문제다 그 큰대륙에서 솓아지는 플라스틱 우리나라만 피해입는다
답글14댓글 찬성하기340댓글 비추천하기30
-
피치4시간전
인류는 자기가 싸지른 쓰레기에 멸종하고 새로운 종이 나오겠지. 지구는 무관심...
답글3댓글 찬성하기105댓글 비추천하기3
-
spoud3시간전
중국이 온갖 산업용 폐수 쓰레기를 다 갖다 버리는데 서해가 남아 나겠어..
답글11댓글 찬성하기291댓글 비추천하기20
-
사마리4시간전
우리쓰레기는 물론이요 특히 중국 어선에서 버리는 어구류 쓰레기 철저 단속 하시요
답글6댓글 찬성하기260댓글 비추천하기7
-
울산보리3시간전
인간들이여 반성하자 지구는 우리의 소유물이 아니다
답글1댓글 찬성하기180댓글 비추천하기5
-
에브리4시간전
지금 부터라도 대책을 세우고 실천. 합시다.
답글2댓글 찬성하기226댓글 비추천하기2
-
zl랄-_-금zl3시간전
쓰지 말라고 할게 아니라 대체 재료 찾아서 플라스틱 생산을 중단 해야 함
답글13댓글 찬성하기911댓글 비추천하기6
-
무무3시간전
오마이갓 저건 미세가 아닌데요. 그냥 플라스틱! 우리 정말 대대적으로 뭔갈 해야는데. 너무 안타깝다.
답글4댓글 찬성하기244댓글 비추천하기2
-
BLUESKY3시간전
바다에대놓고버리기보단 육지에 홍수났을때마다 강을통해 흘러가는게 엄청날끼다..
답글3댓글 찬성하기97댓글 비추천하기9
-
용이4시간전
판매할때 물건에 바코드 지정해서... 쓰레기 처리할때 바코드 찍는 방법으로 가자.., 그러면 쓰레기 함부로 못 버린다...
답글7댓글 찬성하기157댓글 비추천하기22
더보기
새로고침
많이본 뉴스
- 뉴스
- 1위"저 대신 시댁 좀 신고해 주세요"..온라인서 속 태우는 며느리들
- 2위부산 지하차도 참사 담당 공무원 구속..동구청 직원들 '충격'
- 3위SNS서 초등생 꾀어 성폭행 후 달아난 30대 경기도서 검거
- 4위"박영선 38.9% vs 안철수 36.3%, 박영선 39.7% vs 나경원 34%"
- 5위'강제키스' 남성 혀 깨물어 3cm 절단한 20대 여성..정당방위 인정
- 6위마요네즈·토마토, 냉장 보관하시나요?
- 7위흰머리·안경·스페인어 사전..1년 2개월만에 포착된 박근혜
- 8위'물고문' 학대 사망 여아 할머니 "너무 미안해요. 지켜주지 못했어요"
- 9위숨진 7급 공무원, 악플 시달렸다.."마음 좋지 않다" 답글도 남겨
- 10위[단독]미세플라스틱의 습격..2050년 서해 4분의 1이 '죽음의 바다'
이전다음전체 보기
- 연예
- 스포츠
포토&TV
'건강한 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라진 빙하..인류재앙으로 돌아오다 (0) | 2021.04.04 |
---|---|
이재명 '수술실 CCTV법 좌절'에 국회·공무원 맹비난한 까닭은 (0) | 2021.02.21 |
기침보다 무서운.. 코로나19 전파 '주범' 따로 있다 (0) | 2021.01.22 |
교대 취업률 60%대 급락..학령인구 급감에 교원 채용↓ (0) | 2021.01.15 |
"급식 대신 라면, '코로나 1년새' 11세 딸 67kg로..직장맘이 죄" (0) | 2021.01.08 |